-
14세기의 전제국가이.탈.리.아 역사/중세역사 medioevo 2020. 1. 26. 13:08
14세기의 크고 작은 전제국가들은 이런 종류의(프리드리히 II세 시대) 인상들이 없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충분히 보여주고도 남는다. 그들의 잔혹 행위는 널리 알려졌고, 역사는 그것을 장황하게 기록하였다. 그러나 완전히 자기 자신에게 근거하고 그에 따라 조직된 국가로서 이런 전제국가들은 그래도 이점이 더 컸다. 당시 이탈리아 바깥의 군주들은 전혀 짐작도 못한던 일이었지만, 모든 수단이 정당화된다는 의식은 국경선 안에서 거의 절대적 권력을 가진다는 점과 결합되어서 이탈리아에 극히 특수한 인간 유형과 생활 방식을 만들어냈다. 지혜로운 전제군주 통치의 최고 비밀은 가능한 모든 곳에 세금을 매기거나 아니면 맨 처음에 아예 세금 체계를 잘 정비하는 일이었다. 주요 소득원인 기본세는 토지대장에 근거해서 부과하였다. 여..
-
13세기의 이탈리아이.탈.리.아 역사/중세역사 medioevo 2020. 1. 25. 20:26
전제군주에 의해 통치된 지역의 내부 상태에 대해서는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 있는 노르만 국가들이 훌륭한 모범을 보여 준다.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만든 국가가 그런 경우이다. 사라센 사람들을 근처에 두고 배신과 위험의 한가운데서 성장한 그는 일찌감치 사물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처리하는 데 익숙한 사람으로, 왕으로서는 최초로 현대적인 인물이었다. 여기에 사라센 국가들과 그 행정 체계를 상세히 알았다는 점, 교황들과의 생존 전쟁 등이 덧붙여 졌다. 이 생존 전쟁에서 양측은 전쟁터에서 가능한 모든 힘과 수단을 다 동원하지 않을 수 없었다. 프리드리히의 명령은 봉건국가를 철저히 파괴하는 것과 국민을 변화시켜 스스로의 의지력을 잃고 무장 해제되어 최고도로 통제 가능한 대중으로 만들려는 의도였다. 그는 사법권과..
-
BRAVI A CADERE - I polmoni이.탈.리.아 문화/대중문화 cultura di massa 2020. 1. 19. 20:14
이탈리아의 래퍼 Marracash가 2019/11/01 발표한 싱글 앨범 Smetto di farmi le pare per te Mi sa che smetto coi farmaci e con i caffè Ma non so se sono loro che mi buttano giù O io che sono giù e che me la prendo con tutto Provo a allenarmi, ad andare nei club A non svegliarmi più tardi e fare come te Che sai gestire la tua vita meglio di me Sia mai che hai il tempo di avere un dubbio Corro sulle funi e salto sopr..
-
보카치오 Giovanni Boccaccio이.탈.리.아 문화/문 학 lettere 2020. 1. 19. 06:55
1313년 ~ 1375년 소설가, 시인 중세기 문학의 위대한 종료를 장식한 단테에 이어 새로운 시대의 출발점으로 이탈리아 문학에 근대성을 불어넣은 사람은 페트라르카였다. 페트라르카로부터 참다운 의미의 근대 이탈리아 문학이 시작된다고 보아야 하고, 그의 주된 사상인 인문주의(Umanesimo)는 보카치오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중세를 암흑 시대라고 단정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있겠지만, 종교의 속박 때문에 신의 문제에 천착한 나머지 문학이나 예술의 중요한 소재가 신이나 신적인 것에 국한되어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인권 본위의 문화인 헬레니즘이 로마에 이식되어 발전해 갔지만 교권 만능의 문화권에서 헬레니즘은 자취를 감추고 말았던 것이다. 인문주의는 여기에 대항해서 생겨난 것이다. 기독..
-
Il capitale umano - 휴먼 캐피탈이.탈.리.아 문화/대중문화 cultura di massa 2020. 1. 18. 04:57
드라마 · 2014 이탈리아 넷플릭스에서 우연히 본 영화 휴먼 캐피탈은 봉준호의 기생충 토드 필립스의 조커처럼 21세기, 어느덧 견고해진 계급사회를 다루고 있는데 재미있는 점은 이 경악할 만한 인류의 상황을 풀어가는 뛰어난 세 감독의 국적에 따른 특성이다 기생충만 봤을 때는 충격이 크지 않았는데 조커를 보자 두려움 속에서도 같은 상황에 접근하는 두 감독의 차이점이 보였다 토드 필립스가 두시간 동안 한 번도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액셀레이터만 밟은 자동차처럼 우리를 밀어붙여 지금 이 세계의 피흘리는 심장을 보여주었다면 기생충은 한국 스타일로 완급을 조절한다 그리고 여기, 이탈리아인 파올로 비르지의 접근방식이 있다.
-
그라쿠스 이후의 로마이.탈.리.아 역사/고대역사 storia antica 2019. 5. 13. 00:25
기원전 121~88 그라쿠스 형제의 정치 경력은 로마 공화정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개혁들이 왜 실행하기 어려웠는지 그 이유를 보여준다. 아무리 이타적인 혹은 애국적인 동기에서 일으킨 개혁이라도 로마 귀족 집단 내부의 개인적이고 파당적인 대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공화정 체제는 이런 위기를 겪는 동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도 없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그라쿠스 시대와 마찬가지로 이 시대 역시 문헌 자료가 뒤죽박죽이다.) 옵티마테스(귀족파)와 포풀라레스(평민파) 그라쿠스 형제 이후의 정치 투쟁들을 분석할 때는 그 주역들은 둘로 나누어 진다. 그라쿠스 형제의 예를 따라 유권자들이나 잠재적 유권자들 중 심각한 불만을 품고 있는 집단들을 무마하기 위한 개혁과 정책을 촉진시킴으로써 여론의 지지..
-
그라쿠스 형제와 농지개혁 II이.탈.리.아 역사/고대역사 storia antica 2019. 5. 12. 13:10
셈프로니우스 농지법을 집행하도록 구성된 농지 분배 위원회가 입안자의 사후에도 활동을 허용받은 것은 원로원 내에서 티베리우스에 반대해 조성되었던 반감이 개혁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반대나 개인의 경제적 이해에 기반하지 않고 개인적이고 파벌적인 정책에 기초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개혁으로부터 가장 큰 정치적 이익을 거둘뻔한 당사자가 죽었기 때문에 개혁 자체가 더 이상 그의 정적들에게 위협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그들이 자진해서 호의를 베풀고 토지를 분배 받은 사람들에게서 더 많은 피호인들을 확보했다. 티베리우스가 죽은 뒤에 임면된 농지 분배 위원회 위원들은 티베리우스의 적극적인 지지자들이었다. 그들은 열정적으로 활동한 결과 6년만에 7만 5천 명이 넘는 인구를 정착시켰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은 군 복무가 가능한..
-
그라쿠스 형제와 농지개혁 I카테고리 없음 2019. 5. 11. 00:24
기원전 133~121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 Tiberius Sempronius Gracchus The Gracchi, by Jean-Baptiste Claude Eugène Guillaume 기원전 133년경 포에니 전쟁과 급속한 해외확장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변화는 여러 집단들 사이에 심각한 문제와 불만을 야기했다.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와 동생 가이우스는 이런 불만 요소들을 바로잡기 위해 나섰고, 이들의 시도가 갈수록 격렬해지던 정치적 격변과 결국 그로 인해 로마 공화정의 몰락이 초래되는 세기의 문을 열었다. 두 사람의 경력과 그들을 둘러싼 상황이 로마사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되는 주제로 손꼽히는 이유이다. 전통적으로 로마의 군단은 최소한의 재산 자격을 갖춘 소규모 자영농 층의 ..